Page 104 - 농촌진흥 60년사
P. 104

농업혁신 60년, 국민행복 100년




                                            훼 주산단지로 지도요원을 파견해 기술지도를 하고 시범사업을 통해 화훼재배

                                            기술 보급에 앞장섰다. 이 시기 농가의 기술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는 기대만큼
                                            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으나, 화훼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

                                            은 희망적이었다.


                                            유지작물에 눈을 돌리다

                                            1980년대 농촌지도사업은 증산 중심의 지도사업에서 나아가 원예, 과수, 특용
                                            작물 등 소득작물에 보다 역점을 두었다. 쌀, 보리 등의 식량작물은 주곡의 안정

                                            공급을 위해서 중요하지만, 농업 소득 측면에서는 소득탄력성이 상대적으로 낮
                                            았다.
                                            특용작물 중에서도 섬유작물은 1970년대까지 시범사업이 종료되었고, 1980년
            참깨 비닐멀칭 시험재배
                                            대 들어서면서 유지작물 위주의 시책이 전개되었다. 유지작물의 재배를 독려하
                                            기 위해 참깨를 중심으로 땅콩, 유채의 신 품종 시범사업이 실시되었다. 참깨는
                                            1970년대 후반 식생활 패턴이 달라지며 라면과 각종 제과 등으로 수요가 급증했

                                            고 정부도 증산시책을 강화했다.
                                            1978년에는 농촌진흥청이 ‘참깨 비닐멀칭재배 시범사업’을 시작하면서 참깨 재
                                            배기술도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 농촌지도사들이 각 지역에서 멀칭 효과에 대한

                                            지도에 열성을 다하는 가운데 비닐피복재배는 1981년 참깨 재배면적의 37%에
                                            달했고, 1987년에는 92%의 피복율을 보임으로써 백색혁명 달성의 한 부분을 차

                                            지하게 되었다. 비닐피복 재배기술 보급으로 우리나라는 1988년 참깨 자급률이
                                            100%에 달했다.
                                            이후 1990년대에는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과 농산물 수입개방에 따른 가격

                                            경쟁력 저하로 참깨 재배면적이 점차 줄었고, 기계화 농사 등 생산비 절감을 통
                                            한 경쟁력 제고가 과제가 되었다.

                                            땅콩은 유지작물 자급시책에 따라 1966년부터 품종 육성과 재배기술 보급이 본
                                            격화되었다. 1970년대에는 비닐피복 재배방법이 보급되기 시작했고, 1987년이
                                            되면서 땅콩 자급율이 113.8%를 기록했다. 그러나 1995년 UR 협상 타결 이후

                                            저가 외국 농산물의 국내 유입으로 국내 땅콩 생산은 재배면적이 감소했다.
                                            유채는 타 작물에 비해 낮은 소득 수준으로 인해 재배농가가 매년 줄어들어 제
                                            주에서 집중재배되었으나, 관광객 유치를 위한 경관조성을 목적으로 주로 재배

                                            되었다. 기술 보급에서도 돌이 많은 제주 지역 여건에서는 기계의 마모가 심해
                                            유채의 기계화 재배는 쉽지 않은 문제로 남아있다.












            102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