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남해화학 50년사
P. 79
통사편
을 개선하고 보완하는 작업으로 장시간이 소요되어 시운전은 해를 넘겨서 진행되
었다. 1991년 2월 생산공정에 대한 1차 성능보장을 완료하였으며, 폐산 및 폐수의
최종 성능보장을 1991년 6월 끝마칠 수 있었다. 건설 과정이 어려웠던 만큼 제2공
장은 친환경적이고 우수한 공장으로 탄생했다. 제1공장이 톨루엔 외에 희질산과
농질산을 원료로 사용한 데 비해, 제2공장은 톨루엔과 농질산만을 원료로 사용하
였으며, 따라서 제2공장은 제1공장에 비해 폐황산의 발생량이 적고 발생하는 폐황
산의 사양도 우수했다.
제2DNT공장의 준공과 함께 남해화학은 1992년 미국 DNT 수입선과 계약이 끝
난 한국화인케미칼, 신규로 TDI사업에 참가한 동양제철화학과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개가를 거두면서 DNT의 완전 수입 대체를 이루었다. 판매량도 대폭 신
장돼 1993년에는 5만 8,900톤을 판매하였다. 이후 두 수요사의 경쟁적인 사업 확
대 속에 DNT 판매량은 계속 늘어나, 제2DNT공장은 가동 첫해인 1991년에 65%,
1992년에는 81%, 1993년부터는 95% 이상을 상회하는 가동 실적을 구현했다.
제2DNT공장 용량 증대
1990년대 하반기 들어서도 국내 TDI 생산업체들이 공장 확장을 통해 생산능력을
증대시켰다. 국가 산업경제의 발달과 국민생활 향상에 따라 가방과 핸드백용 합성
피혁, 선박용 폴리우레탄 도료, 자동차 내장재 등에 쓰이는 TDI의 수요가 계속 증
가하고 있었다. TDI의 주원료인 DNT를 생산하는 남해화학도 기존 생산량의 약
15%인 연간 8,000톤을 증산하기로 결정하고 제2DNT공장을 개조해 생산 용량을
증대시키는 사업에 착수했다.
제2DNT공장 전경
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