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4 - 남해화학 50년사
P. 54

남해화학 50년사





                                              정밀화학을 향한 도전, DNT공장 건설
                                              남해화학은 DNT(Dinitrotoluene)공장 건설에 투자하면서 고부가가치 정밀화학
                                              산업을 향해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었다. DNT는 신발 제조, 페인트 공업 등에 사

                                              용되는 TDI(Toluene Di-Isocyanate)의 원료이며, 또한 자동차, 가구 등에 사용되
                                              는 폴리우레탄의 원료이다. 국내에서는 그동안 TDI의 생산을 위해 원료가 되는

                                              DNT를 수입하여 사용했는데, 경제 성장으로 TDI 수요가 증가하면서 DNT 수요도
                                              늘어나 1986년에는 연간 1만 5,000톤에 이르게 됐다.

                                              남해화학은 DNT의 주원료인 질산과 황산을 생산하고 있었기 때문에, 고부가가치
          1988.04.08. DNT공장 준공식
                                              정밀화학 산업으로의 진출을 머뭇거릴 이유가 없었다. DNT공장의 건설은 캐나다
                                              의 벡랜드(Beckland)가 기본설계를, 대우엔지니어링이 상세설계를 맡았고 대림

                                              산업이 건설을 담당했다. 1987년 5월 하루 48톤, 연산 1만 5,000톤 규모의 제1DNT
                                              공장 건설에 착수하여 1988년 1월 기계적 준공을 보았으며, 시운전을 개시하여 3

                                              월 성능보장을 마치고 본격적인 제품 생산에 돌입했다.
                                              1988년 가동을 시작했으나 제1DNT공장은 국내 DNT 수요 부족으로 3년이 지나도

                                              록 평균가동률 60%대를 유지하는 등 부진한 조업 실적을 면치 못했다. 1990년대
                                              들어 동양화학의 TDI공장 건설로 DNT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제

                                              2DNT공장을 건설해 1991년 1월부터 가동을 시작하는 한편 제1공장은 약 2년 동안
                                              운휴에 들어갔다. 제1공장이 다시 가동한 것은 DNT 수요처(동양화학)의 TDI공장
                                              용량이 증대된 1993년 말이며, 이후 제1공장도 설계 용량을 상회하는 호실적을 유

                                              지했다.






























          DNT공장 전경



          052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