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5 - 인천국제공항 4단계 건설사업 건설지 [건설기록지]
P. 95

3장 | 재도약의 여정


               제1절
               세계적 공항 진입,



               확장과 고도화의 실현

















               01                        항공운송 자유화 흐름과 미래수요 예측의 결과

                                         3단계 건설사업의 공항건설계획을 검토하던 무렵 전 세계 항공산업의 흐름이 급격한 변화
               3단계 건설사업으로                를 맞고 있었다. ‘항공운송 자유화’가 그 흐름이 핵이었다. 각국 항공산업에 대한 진입제한
               공항의 큰 그림 완성
                                         및 가격규제 철폐, 항공 공급량의 자유로운 결정 등이 핵심적인 내용이었다.
                                         항공산업 규모 확대와 항공사 중심 시장개방은 점차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다. 이에 아시
                                         아지역 주요 공항들은 항공산업 시장경쟁체제 도래를 대비해 공항시설의 확장, 타 공항과의

                                         전략적 제휴 등을 포함해 새로운 사업전략개발에 힘을 쏟기 시작했다.
                                         일례로 2006년 싱가포르 창이공항은 제3여객터미널 신설사업에 착수했고, 중국 상하이 푸

                                         둥공항은 제2여객터미널과 제3활주로 건설에 이어 제4·5활주로 및 위성터미널 신설 등을
                                         포함한 공항 확장에 박차를 가했다. 또 중국 베이징공항도 1억 명 여객을 처리할 수 있는 능
                                         력을 갖추기 위해 제2베이징공항 건설에 돌입했으며, 일본 나리타공항은 민영화 절차를 끝

                                         낸 후 LCC(Low Cost Carrier, 저비용항공사) 여객터미널 신설, 유도로 개선 등을 내용으로
                                         하는 시설확충사업을 전개했다.
                                         인천국제공항도 급변하는 항공산업 흐름과 수요변화에 발을 맞추어야 했다. 이에 2006년부

                                         터 2008년에 걸쳐 ‘2단계 이후 마스터플랜 재정비용역’을 실시했다. 용역은 한국교통연구원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KOTI)과 네덜란드 항공엔지니어링사 NACO(Netherlands
                                         Airport Consultants)가 수행했다. 두 기관은 우선 인천국제공항의 기존 항공수요 예측자료

                                         인 2단계의 기본·실시설계 용역과 제3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 ICAO의 세계 정기 항
                                         공교통수요 예측, 주요 항공기 제작사의 항공수요 전망 등을 고려했다.

                                         결과는 어떠했을까? 우선 2015년 인천국제공항의 국제여객은 5,735만 5천여 명, 국내여객
                                         은 111만 4천여 명, 화물수요는 385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나아가 2035년에 이르
                                         면 예측되는 항공수요는 놀라운 수준이었다. 국제여객은 1억 336만 명, 국내여객은 361만






                                                                                                               093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