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7 - 농촌진흥 60년사
P. 257

제3편 | 농업 연구




            아울러 LMO옥수수, 감자 정량 및 정성 PCR 분석법 개발                 기반 표현형 예측 AI 모델을 개발하는 등 차세대 생명정

            결과를 학술지 『J Agric Food Chem』 등에 게재했다.              보기술 개발 및 기반 확보를 진행 중이다.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농업생명공학 선진화 기반 조성 및 연구                    농촌진흥청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은 국내 주요
          04 성과 실용화(2011~2020년)                               유전자원에 대해 대학, 산업체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양

                    생물정보학 연구                                  질의 유전체 빅데이터를 구축·활용함으로써 생명 현상 기
                    미래 농업생명공학 연구 및 산업의 핵심 기반 구                초 연구 강화, 기능성 종자 개발, 바이오소재의 실용화를

            축을 위해 생명의 설계도인 유전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원하기 위해 산·학·연 공동으로 추진한 국가 주도형 기
            농생명 빅데이터를 분석·활용하기 위한 생명정보학 기                      반 구축사업이다.
            술 개발 및 기반을 확보했다. 먼저 생명정보학의 핵심기                    이 사업은 ‘밀레니엄 농생명자원 유전체 해독사업’, ‘농림

            술인 차세대유전체해독(NGS) 기반의 유전체 해독기술                     축산식품 바이오 정보 고도화사업’, ‘국제협력 공동연구사
            을 확보하고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 해소를 위해 유전체                     업’등 3개 분야에 걸쳐 2014년부터 2021년까지 8년간 608
            및 전사체 조립과 분석을 위한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했                     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우리나라의 주요 토종자원인

            다. 구체적으로 NGS에서 생산된 유전체 염기서열의 원                    가축, 농작물, 곤충, 선충 등 40품목을 대상, 산·학·연 공
            활한 조립을 위해 다양한 De Novo Genome Assembly,            동으로 연평균 25개 연구기관, 357명이 참여해 표준유전
            Resequencing 파이프라인을 구축했으며, 발현 분석을                 체를 완성했으며, 약 164만 8,000개의 유전자를 품목별로

            위해 초기 EST를 시작으로 대량의 RNA-Seq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해 연평균 약 14만 명의 대학, 산업계 연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데이터 활용을 위해                     구자에게 제공했다.

            서는 마커 후보 선발을 위한 QTL, GWAS 등 다양한 파이                이 사업을 통해서 국내외 학술논문 189건, 산업재산권
            프라인을 개발·구축해 연구자 요청에 따라 분석 지원을                     105건을 게재, 출원·등록했으며, 지난 8년간 434명의 석·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신속한 대량분석을 위한                     박사 전문인력이 참여하면서 유전체분야 전문인력 양성

            슈퍼컴퓨터 기반의 유전형 분석 파이프라인 및 유전형                      과 고용창출 효과도 나타났다. 지난 7년간 아시아-태평양



























            유전체 연구                                            농업생명자원부 연구시설




                                                                                                          255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