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2 - 남해화학 50년사
P. 352

남해화학 50년사














































                                              반도체용 황산을 제조하는 것인데, 고도의 정제기술과 취급 노하우가 필요한 만큼 고순
                                              도 황산은 일반 황산에 비해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인공지능, 통신,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등 견조한 반도체 수요를 바탕으로 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등 국내 반도체 공장 증설 계획은 향후 고순도 황산의 수요 증가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지표이다. 현재 국내 반도체용 황산 시장은 고려아연, LS MNM 등 2
                                              개 업체의 공급 물량으로 시장의 밸런스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나 삼성전자, SK하이닉

                                              스 등 국내 반도체사의 생산능력 확대 계획이 예정되로 실행되면 고순도 황산의 수요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눈에 보이지도 않는 나노 단위의 미세먼지 하나도 생산 수율에 영
                                              향을 미치기 때문에 반도체용 케미컬에 대한 제품 인증 절차는 매우 복잡하고 까다롭다.
                                              제품 인증은 제품의 품질과 더불어 공정변경에 대한 신속한 대응 능력, 위기관리 능력 등

                                              공급사(Vendor) 전반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다. 그만큼 새로운 공급사의 제품을 도입하
                                              기까지 검증 절차에 시간적, 물리적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이처럼 최고의 수율을 실현하

                                              기 위한 공정 레시피를 찾고 공정을 안정화하는 것이 모두 비용과 직결되기 때문에 대개
                                              반도체사는 제품이나 공급사에 변화를 주는 것을 상당히 꺼려한다. 하지만 현재의 공급

                                              처의 대부분은 반도체용 황산 전문 업체가 아니기 때문에 사업 집중도가 다소 떨어지는



          350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