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산림조합60년사
P. 58

산림조합 60년사                                                                                     통사




               크게 기여했다. 즉, 갈저・굴참나무껍질・송이・잔디씨・떡갈잎・멍개잎 등 광활한 산
               야에 자생하는 천연자원을 수집해 재화로 만듦으로써 농촌소득과 외화획득에 기

               여하고, 농촌연료의 공동채취, 농용재의 공급 등을 통해 농・산촌 지역주민의 생
               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바지한 것이다. 특히, 농촌 연료림 조성사업에서 대

               행 또는 대집행조림에 의한 분수권 설정에 대해 시・군 조합이 수속을 대리해줌으

               로써 1980년까지 총 64만 3,000ha의 분수림을 확보했다. 또한, 조림용 대부림을
               관리 지도해 1973년 대부림의 양여제도가 중지될 때까지 5,000여 ha를 산림계가

               양여받을 수 있도록 힘을 다했다.






                  03. 산림계 규정의 강화와 변화

                  법인체 성격의 변화
                  산림계는 애당초 리・동 단위의 호혜적인 협동체이자 비영리적인 봉사단체이

               며 임업지식의 보급단체로 출발했다. 농・산촌민의 생활 향상을 위한 조직으로 임
               업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연마하기도 하고 훼손된 산림을 복구하는 데 기여하는

               단체이기도 했다. 그러나 1951년 9월 제정된 「산림보호임시조치법」을 법적 근거

               로 조직된 산림계는 이후 리・동 단위로 조직된 공법인체로 새로운 전환을 맞았으
               며,  「산림법」(1961년), 「산림조합법」(1980년)에서도 공법인체의 성격을 유지했다.

                  1961년 제정되어 이듬해 시행된 「산림법」은 종래의 산림계, 시・군 조합, 각 도
               연합회와 중앙산림조합연합회 등을 개편해 공법인체인 리・동 산림계, 시・군 산

               림조합, 대한산림조합연합회의 3단계 조직으로 체계화했다. 그 후, 「산림조합법」

               (1980년)이 제정되면서 산림계 관련 법령은 「산림법」으로부터 분리되어 「산림조
               합법」에 포함됐다.

                  1993년 6월 11일 「산림조합법」이 「임업협동조합법」으로 개정되면서 산림계

               에 대한 내용은 삭제되고 대신 임업협동조합법 부칙 제3조에 산림계는 해산되는
               날까지 존속하며, 이 기간 중의 산림계의 운영은 종전의 규정에 따라 하되 그 업

               무의 지도는 임업협동조합이 하도록 규정했다.

                  이어 1994년 12월 22일 개정된 산림법 제14조에서 산림계가 산림사업 대집행
               자의 지위에서 삭제됨으로써 우리나라 산림녹화를 현지에서 주도했던 산림계는


               056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