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농촌진흥 60년사
P. 17

제1편 | 농업 개관




                                            또한 바이오에너지, 기능성·식의약품 소재산업, 미생물산업 등에 소재를 제공하

                                            는 등 신산업 창출의 동력이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농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농지, 하천, 저수지, 댐 등 생산 기반을 조성하고 정

                                            비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토양의 침식, 유실, 경지의 노후화, 가뭄, 풍수해, 산사
                                            태 등을 예방하고 복구하는 일도 병행된다. 농지의 침식 방지 공사, 하천·저수
                                            지·댐 등의 정비, 용수 및 배수시설, 사방 공사 등을 통해 농지와 농업용 시설을

                                            재해로부터 예방하면서 국토 보존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농업은 자연환경 보전에 관한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농작물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해 공기 정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인공습지
                                            역할을 하는 논 생태계를 통해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유기·친환경농업에 관한 기술 개발 등 농업의 환경적 가치를 높이는 농업활동

                                            을 통해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농업의 현장인 농촌은 전통과 문화를 보존하며 휴식과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역사회의 안정과 균형, 지역정체성의 확립, 농

                                            촌문화 보존, 전통문화 계승 등을 통해 사회문화적 기능이 강화되고 있으며, 특
                                            히 도시거주자에게 여가공간을 제공해 정서적인 안정과 회복은 물론 자연과 전
                                            통문화를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국토 이용
                                          03 농업활동의 근본이 되는 땅을 고르고 이용하는 일은 매우 기본적이면

                                                   서도 중요한 일이다. 우리나라는 신성암인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이 전

                                            국토면적의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복잡한 지형 속에 토양도 다양하게 분포되
                                            어 있어 이를 체계적으로 조사·분석해 농업에 활용하고자 1960년대 토양조사와

                                            토양 검정사업을 실시했다. 이를 토대로 9개 도의 개략토양도(1:50,000)를 발간
                                            하는 한편, 정밀토양조사를 실시해 137개 시·군의 정밀토양도(1:25,000)를 발간
                                            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는 쌀의 지속적인 안정생산 기반 구축을 위해 10년간 논
                                            1,319ha에 대한 세부정밀토양조사와 함께 61만 8,000점에 대한 토양 검정을 비
                                            롯한 적토, 배수 개선, 개량제 투입 등의 농토배양사업이 추진되었다. 이후 지형

                                            도 및 지적도의 데이터베이스 표준안이 확립되었고,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의 토양환경정보시스템인 ‘흑토람’을 구축함으로써 우리나라 토양에 대한 체계
                                            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015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