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9 - 남해화학 50년사
P. 279
부문사편
남해화학 공해방지시설 투자 현황
연도 주요 투자내용 투자건수 투자비
•각 단위공장 건설 당시 공해방지 시설 설치
1974~1980 3건 112억 원
•암모니아공장 수소회수시설(Purge gas회수)설치
•종합폐수처리장 시설 설치, 복비·인산공장 불소 방지시설
1981~1990 •황산공장 공정개선(HRS), 요소공장 분진 방지시설 25건 145억 원
•복비공장 세정기 증설
•전 공장 우·폐수 분리사업, 요소공장 응축수 처리시설
•암모니아공장 고압응축수 처리시설
•멜라민공장 폐수 총질소(T-N) 저감시설
1991~2000 49건 476억 원
•폐수 처리장 T-N저감시설, 굴뚝 자동측정기(TMS)설치
•동력공장 전기집진기 설치, 황산공장 세슘촉매 교체
•복비공장 공해방지 시설, 인산공장 석고수 처리시설(냉각탑 등)
•그래뉼요소공장 폐가스 및 폐수 처리시설
2001~2002 •제3황산공장 Start-UP Heater 설치, 부두 원재료 하역기 교체 12건 378억 원
•석고장 차수시설 및 사면 안정화사업
계 89건 1,111억 원
2002년 말까지 총 1,111억 원을 투자해 공정 개선과 공해방지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강
화된 정부 환경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했다. 2000년대를 전후해서는 매년 매출액의
약 3%를 환경개선에 투자해 오염물질 배출량을 해마다 감소시켰다. 1994년 700ppm
이던 폐수 중 총질소 T-N을 2003년 80ppm 이하로, 대기 중 아황산가스 배출 수준도
80ppm로 줄여 법정 규제 이하의 수치를 유지했다.
남해화학 50년 1977년 2월 28일 남해화학은 복합비료 및 요소·암모니아·황산·인산·질산·농질
건강지킴이 산·초안공장을 준공했다. 화학공장의 특성은 가동과 함께 부식성 강한 물질을 취급할 뿐
만 아니라 폐수와 분진,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할 수밖에 없다. 이에 기술본부는 부식과 마
모에 의한 공장 설비를 유지·보수하고 공장과 주변 환경안전을 책임지며 남해화학이 생
산시설로서 지속될 수 있도록 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1977년 각 단위공장의 건설을 마무리하던 시기부터 공해방지시설 설치를 추진했던 남
해화학은 1981년 암모니아공장 수소회수시설(Purge Gas 회수)을 설치했다. 1983년 2월
에는 종합폐수처리시설사업 승인을 받고, 1984년 1월 모든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하루 5,400톤 규모의 종합폐수처리장을 건설했다. 1990년에는 요소 제
립탑에 공명제립기를 설치해 비료 분진 발생을 최소화했고, 동력공장 벙커시유 분진 최
소화를 위해 전기집진기를 설치했다. 1991년 11월 37억 원을 투입해 우·폐수 분리사업
건설공사를 시작해 1992년 5월 기계적 준공을 완료했다. 1992년 11월 석고수 냉각저수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