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2 - 남해화학 50년사
P. 252

남해화학 50년사





                                              남해화학 연구소는 1991년 12월 키스트(KIST)와 공동으로 로진(Rosin)을 이용한 수도용
                                              완효성비료 생산 연구를 시작했다. 농촌의 시비 노동력을 절감하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완효성비료 개발은 국가 차원의 사업으로 손꼽히고 있다. 양분의 이용 효율을 높이
                                              는 비료라는 측면에서 탄소중립에 적합한 농업소재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2022년
                                              전국 10개소에서 ‘저탄소 식량작물 재배기술 현장 확산모델 시범사업’을 추진한 농촌진

                                              흥청은 완효성비료 사용을 농경지 온실가스 저감 국가사업 기술에 포함시켰다.
                                              저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완효성비료 개발에 뛰어든 남해화학은 1994년 시간당 25

                                              ㎏을 시험 생산할 수 있는 파일럿(Pilot)공장을 준공했다. 완효성비료는 천연물질인 로진
                                              피복물질의 고화성 문제에 부딪혀 상업화 생산 단계로 넘어가지 못했다. 이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보다 개선된 피복물질을 연구한 남해화학 연구소는 2000년 고분자 수지를
                                              이용한 아크릴계 고분자 피복물질을 개발했다. 2002년 보완을 거친 피복물질로 완효성

                                              비료를 만들어 순천대학교에 작물재배 시험을 의뢰한 결과 그 우수성을 확인하게 됐다.
                                              2003년 농업인들의 의견을 수렴한 남해화학은 순천과 진주 지역 농가에 완효성 복비를
                                              제공해 실증사업을 시행했다. 2005년 완효성비료 생산을 위한 1공장을, 2008년에 2공

                                              장을 건설하였다. 완효성비료 시장은 점점 성장해 2024년 현재 추가 공장 증설이 요구
                                              되고 있다.

                                              연구소에서는 완효성비료를 세분화해 전용비료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국
                                              재배지가 8,000헥타르에 불과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밀의 경우, 정부에서 재배지를
                                              확장하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소는 맥류 자급률 제고를 위해 단 한 번의

                                              시비로 수확까지 재배가 가능한 전용비료 개발을 국립식량과학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
                                              여 개발에 착수하였다.

                                              완효성비료 피복제의 토양 잔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비료제조 회사들 사이에
                                              서 치열한 경쟁 속에 진행되고 있는데, 연구소는 한 발 앞선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250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