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2 - 농협은행 10년사
P. 212
행복한 금융,
사랑받는 일등 민족은행
체 입력사항 없이 계좌비밀번호만으로 이체가 가능했다. 키보드뱅킹은 메신저
나 SMS 이용 중에 뱅킹 앱 실행 없이 네 자리 계좌비밀번호 입력만으로 이체가
완료된다. 간편뱅킹도 여섯 자리 비밀번호로 로그인 후 보안 매체와 공인인증
서 입력 없이 이체가 가능, 편의성을 향상했다.
더불어 새로 탑재한 상담톡은 텍스트와 음성입력 모두 지원해 거래내역조회·
이체·환율조회 등 주요 금융거래를 지원하고 실시간 아르미AI를 통해 최적
의 답변을 고객에게 제공했다. 실물 OTP가 필요 없는 소프트웨어 방식 모바일
OTP, NH무계좌해외송금·웨스턴유니온자동송금, NH라운지, 퇴직연금 업무 등
신규 서비스도 추가했다.
은행은 핀테크와 모바일뱅크 서비스에서 앞서가면서 2019년 9월 시행한 ‘한경
핀테크대상 2019’에서 서비스 분야 대상(금융위원장상)을 받았다. 1,100여개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앱 ‘NH스마트뱅킹 원업’에 대한 평가가 수상
의 주된 이유였다.
디지털플랫폼 전격 개편
NH농협은행은 2019년 10월 30일 오픈뱅킹 시행에 발맞추어 NH농협은행 디
지털플랫폼에서 타 은행의 계좌를 등록해 잔액과 거래내역을 조회하거나 송금
할 수 있는 ‘NH오픈뱅킹 서비스’를 시행했다.
NH농협은행은 1,570만명의 고객이 이용하는 금융 통합 플랫폼인 NH스마트뱅
킹 원업과 농협 인터넷뱅킹을 기반으로 오픈뱅킹 서비스에 나섰으며, 비대면
채널 3단계 혁신방안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했다.
1단계로 NH스마트뱅킹 앱에서 10월 30일부터 타행 계좌 조회와 이체 서비스를
비롯한 오픈뱅킹 서비스를 시행했으며, 10월 19일에는 스마트폰을 흔들면 지정
된 서비스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모션뱅킹’, 스마트폰 바탕화면에서 바로 계
좌 조회, 이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위젯’서비스 등을 신규 도입했다.
2단계로 NH스마트뱅킹 고도화를 진행해 9개 언어(영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
아어, 몽골어, 베트남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캄보디아어) 서비스를 지원하며,
통장 없이 스마트폰으로 출금이 가능한 창구 출금 서비스와 연락처 송금서비스
등 고객들의 편의성을 강화한 서비스들을 선보였다. 3단계로 간편 모바일 플랫
폼 ‘올원뱅크’도 11월 23일부터 ‘NH오픈뱅킹 서비스’를 시행해 타행 계좌 ‘50만
원 이하 무료 송금’과 ‘환전 90% 우대 서비스’등의 특화 서비스를 시작했다.
더불어, 올원뱅크는 음성뱅킹 서비스·간편결제·프리미엄 서비스 등 기존 특화
서비스를 개선하고, 전용상품 라인업(Line-Up) 확대 및 빅데이터 기반 맞춤상
품 추천, 상품가입 프로세스 간소화 등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 접근
2019.10.30.
NH오픈뱅킹 서비스 시행 성을 높였다.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