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3 - 농촌진흥 60년사
P. 263

제3편 | 농업 연구




            30만 장을 전 생육 기간을 대상으로 구축했다. 더불어 육                  전자 편집집단을 구축했으며, 병저항성 형질과 내재해

            종 현장에서 작물의 종자, 과실 특성 분석에 사용 가능한                   스트레스 형질에 대해 기능 검정을 진행하고 있다. 아울
            영상분석 웹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러 웅성불임 토마토 육성, 추대 지연 배추, 제초제 저항성

            했으며, 벼, 콩, 팥, 대두 4종을 대상으로 컴퓨터뿐 아니라                과 가뭄내성 옥수수, 지방산 조성이 변경된 카멜리나 등
            스마트폰을 이용한 종자 특성 분석방법을 개발했다.                       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랩 구축의 일환으로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데

            이터 전송과 작물 영상형질 분석 기술 플랫폼으로서 라                     농업생명공학기술 실용화 연구 병행
            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이동형 종자 특성 분석시스템 및                      (글로벌 시장용 종자 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콩 등 종자 특성 분석, 콩나물·거                   돼지 써코바이러스, 구제역 바이러스, 돼지 델타코로나
            베라·호접란·버섯·딸기·사과·배 등 35형질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등에 대한 식물 기반의 백신 생산 연구를 시작
            작목기관, 대학, 연구소 등 14기관과 협력을 통해서 특성                  해 담배 형질전환체와 일시발현 식물체를 확보해 분석하

            분석에 활용하고 있다.                                      고 있으며 목적 단백질 발현을 높일 수 있는 고발현 바이
                                                              럴 벡터도 개발하고 있다.

            유전자 편집기술 활용                                       건강 기능성 및 고품질 밀 육성을 위해 최신 단백체 기술
            유전자 편집을 이용한 육종소재 개발과 유전자 기능 분                     로 WDEIA의 새로운 항원인 D염색체 유래 ω-5 글리아딘
            석을 위해 벼, 배추, 카멜리나, 들깨, 옥수수 등의 작물을                 을 추가 동정하고 해당 단백질이 결손된 유전자원을 찾
            대상으로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유전자 편집기술을                       아 차세대 알러지 저감 밀 육성 기반을 마련했다. 그리고

            구축했다. 그리고 다양한 작물의 편집 체계 구축에 필요                    질량분석기와 DNA 마커를 이용해 빵 가공적성에 뛰어
            한 운반체 DNA, 편집 여부 대량분석 기술 개발을 위해서                  난 밀 글루텐 동정기술을 개발했고, 고품질 밀 육성에 활

            Digital PCR 이용 copy 수 확인과 형광 PCR(HRM)을 이          용하기 위해 국립식량과학원과 정보를 공유했다.
            용한 편집방법 확인기술을 개발했다.                               그리고 항산화 로즈마린산 대량생산 등 줄기세포 이용
            또한 편집기술을 이용해 벼 전사인자 2,600종의 운반체                   유용물질 대량생산기술을 개발했으며, 합성생물학 기반

            를 작성하는 한편, 이 가운데 189종에 대해서 이용한 유                  불포화지방산 및 테르페노이드 생산 증진 유전자와 이를



























            표현체 연구




                                                                                                          261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