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7 - 농협은행 10년사
P. 367
Part.03
현황으로 살펴보는 NH농협은행
IT신기술 •4차 산업혁명 대응 핵심 기술도입 [RPA 3대 발전방향] RPA 양적 확대와 질적 혁신을 통한
역량 강화로 4차 •중장기 핵심기술 활용 기반 마련 「 RPA 선도적 위치 공고화 및 초격차 실현 」
산업혁명 대응 •연구개발을 통한 선제적 기술변화 대응
미래금융 •비대면 채널 및 NH핀테크 경쟁력 강화
전략 로봇 대체 업무량 확대 신기술 융합 지능화 RPA 내재화
선도하는 금융IT •카드시스템 디지털역량 강화
서비스 강화 •정보계 및 금융IT 서비스 고도화
방향 RPA 양적 확대 AI 융합 혁신 내부 역량 강화
지속성장 기반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스피드 IT 추진 신규 적용 영역 머신러닝·데이터 등 교육, 인프라 제공 등
마련을 위한 •무장애 구현을 위한 IT관리체계 강화 발굴 및 추진 융합 서비스 제공 기술 내재화
IT역량 강화 •장기적 관점의 IT성장동력 기반 마련
•IT업무 운영의 다양화로 IT조직 개선
변화를 주도하는 도입기 확산기 성숙기
•디지털 금융 지원체계 강화 구분
조직·인력 혁신 2018 2019 2020 2021 2022
•변화·혁신으로 IT조직·인력 전문성 강화
목표 기반 구축 양적 확대 (1~3차 확대사업) 질적 성장
RPA확대
IT부문 시범사업 22개 업무 40개 업무 기술내재화
추진사업
NH프라이빗 클라우드 IaaS 플랫폼 구축
당행 7개 업무 40개 업무 90개 업무 115개 업무 영업점 중심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 클라우드를 활용한 프라이빗 클라우 (전체) (5개 부서) (19개 부서) (31개 부서) (33개 부서) RPA문화확산
드 플랫폼 구축을 2018년도에 추진해 민첩하고 유연한 클라우
드 기반 IT인프라 체계를 구축했다. 기존 UNIX 위주의 시스템을 료의 자유로운 공유로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업무 수행을 할 수
리눅스-클라우드 퍼스트(Fisrt)원칙으로 IaaS(Infrastructure as a 있게 되었다. 즉, 분산 관리되던 지적 자산이 기업의 자산으로 활
Service)를 먼저 구축해 인프라 영역에 대한 클라우드 기반을 마 용하게 된 것이다.
련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무업무 핵심 혁신 기술인 RPA(로봇프
클라우드 추진 3단계 전략(2018~2020년)에 따라 2019년에는 로세스자동화) 사업 또한 2018년부터 단계별로 구축했다. 먼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을 구축하였고, 현재는 퍼블릭 저, 2018년에는 주관부서인 디지털전략부 전산개발 요청에 따
클라우드 영역까지 확대하여 퍼블릭 기반 DR시스템 구축 등을 라 RPA 솔루션 및 구축업체를 선정하고 시범사업 대상업무 분석
진행 중이다. 아울러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급변하는 디지털혁신 및 설계를 포함해 조직·인력·시설·변화관리 등 RPA 전반의 운영
니즈에 대한 신속한 IT인프라 지원 체계를 확립하고, IT인프라 운 체계를 수립했다. 이를 기반으로 후선부서, 영업점, IT부서 등 다
용 효율성 및 민첩성을 증대하고 있다. 양한 분야의 RPA 업무 적용을 추진했다. 2020년부터는 IT부문
에서 RPA 추진계획을 주도적으로 수립하고 자체 개발을 통해 IT
중앙 집중화된 문서관리 문서 권한관리 및 체계화된 분류
부문 내 40여개의 업무에 RPA를 적용했다. 이 같은 과정 속에서
문서 공 부서문서함
작성/저장 문서 중앙화 유 같은 소속 직원 ‘RPA 활용 고객관점 모바일 상시점검’은 국내 최초 고객(사용자)
(클라우드) 영
역 팀문서함
다른 소속 직원
관점의 업무·장애 점검으로 2021년 특허를 취득했다.
개인함
개
사용자 인 개인문서함
공유/협업함 영 소유자
역
통합스마트뱅킹(One Up) 구축
농협금융 모바일 앱의 고객채널이 수익채널로 발전되었으나, 다
클라우드 기반 ECM 구축 및 RPA 운영 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앱이 다수 출시되어 고객 피로
클라우드 계획의 하나로 다양한 업무 관련 자료들을 중앙시스템 도 또한 증가되었다. 또한 노후화된 스마트뱅킹 플랫폼으로 연도
에 통합 저장함으로써 업무 자료를 체계적으로 저장·관리하고, 중 수시 업데이트가 불가한 문제점 등 고객 니즈 수용 및 확장성
공유·협업하여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문서관리시스템(ECM) 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을 2019년에 구축했다. 개인 PC에 관리되고 있는 콘텐츠·문서를 이에 은행은 2018년 디지털 통합스마트뱅킹 구축을 추진했다.
중앙 집중화하여 관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었고, 부서·개인 자 네이티브, 하이브리드 ⇒ 웹 방식으로 전환을 했으며, 퇴직연금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