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6 - 농협은행 10년사
P. 276

행복한 금융,
            사랑받는 일등 민족은행



                                             기술금융의 성장과 농업기업 지원 확대
                                             NH농협은행은 2021년 기술신용대출이 전년과 비교해 대폭 늘어났다. 담보나
                                             신용이 부족한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이 이들이 보유한 기술력을 담보로 보

                                             증·대출·투자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신용대출은 일반 기업신용대출
                                             보다 금리가 낮고 대출 한도는 많아 기업이 선호하는 금융지원제도이다.
                                             2021년 5대 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의 공급 규모는 187조
            2012.2.                          3,972억원으로 전년 153조 2,288억원 대비 22.3% 증가했다. NH농협은행은 기술
            기업체 현장 방문(대전 대덕구, 삼진정밀)
                                             신용대출 업력이 낮아 전체 점유율은 높지 않았지만, 연간 증가율에서는 가장 앞
                                             줄을 차지했다. NH농협은행의 2021년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17조 3,243억원으로
                                             전년 12조 5,807억원과 비교해 37.7%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신한은행이 26.2%로

                                             뒤를 이었고, 우리은행 25.2%, 하나은행 17.8%, 국민은행 14.7%순이었다.
                                             기술금융 실적이 상승한 배경에는 2021년 9월 기술금융 담당 조직을 팀에서 단
                                             으로 격상한 것도 효과를 발휘했다. 기술금융팀은 지난 2014년 출범해 2020년

                                             까지 여신기획부 소속이었다. 하지만 2021년 기업고객본부 내 기술금융단으로
                                             재탄생했다. 기술금융의 전사적 확대를 위한 조치였다.
                                             이와 함께 기술금융 최고수준 레벨인 ‘레벨4’에 진입한 것도 기술금융 성장의

                                             견인차였다. 레벨이 오를수록 은행 자체평가에 기반한 기술신용대출 가능 금액
                                             이 늘어난다. 레벨1은 예비실시단계, 레벨2는 직전 반기 기술금융대출의 20%
                                             이내, 레벨3은 50% 이내, 레벨4는 금액 제한이 사라진다.
                                             2021년 11월에는 농식품투자반을 농식품투자단으로 격상하면서 독립운용 조직

                                             으로 면모를 일신했다. NH농협은행은 농식품투자단 신설을 앞두고 업무 정비
                                             를 통해 내부통제를 강화하였다. 2021년 10월, 자본시장법이 대규모 개정되면서

                                             PEF 운용 규정이 크게 바뀜에 따라, PEF 운용 감독규정을 철저히 이행하기 위
                                             해 PEF 업무방법을 개정했다. 또한, 변화하는 농산업 구조를 반영해 그린바이
                                             오, 디지털 농업 등 미래 농식품 생태계의 중심으로 부상할 기업을 발굴할 투자
                                             전략을 수립했다. 아울러 변리사, 공학박사 등 기술 평가 관련 인력을 기존 10명

                                             에서 20명으로 증원하고, 각 직원의 성과를 측정하는 핵심성과지표(KPI)에서
                                             기술신용평가 관련 가중치를 높였다. 이를 통해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유망 농
                                             기업을 발굴, 6개 혁신 스타트업에 241억원의 PEF 투자금을 신규 집행했다. 아

                                             울러 투자지원으로 성장한 벤처 농식품 기업에 대한 투자금을 회수해 투자수익
                                             률 48%를 달성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 노력
                                             2021년 9월 말에는 중소기업·소상공인 고객에 대한 특화 서비스를 강화하고,
                                             고객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NH기업스마트뱅킹을 개편했다. NH농협은행은



            274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