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8 - 농협은행 10년사
P. 218
행복한 금융,
사랑받는 일등 민족은행
각 부서 전담 인력을 지정해 편입시키고 AI,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 4차 산업 기
술 내재화를 중장기 전략으로 수립했다. 본 사업 시행에 앞서 신기술 동향과 우
수사례 등을 미리 테스트하거나 파악해 현실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조속히 예산
을 투입하기로 했다.
2020년 10월 5일 금융권 최초로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RPA(로봇프로세스자
동화) 시스템을 통해 ‘투자상품 불완전판매 점검 고도화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2020.11.19.
AI양재허브와 인공지능(AI) 혁신기업 육성 지원을 WM사업부와 디지털전략부의 협업으로 이루어진 ‘투자상품 불완전판매 점검
위한 MOU 체결
고도화 프로젝트’는 인력에 의존한 점검업무를 자동화 로봇으로 대체해 불완전
판매 탐지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였다. 이런 자동화 시스템 도입으로 투자상품 판
매사의 불완전판매에 대한 고객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020년 11월 19일에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AI양재허브와 인공지능(AI) 혁신기
업 육성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AI양재허브는 인
공지능 관련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AI 특화 기업을 발굴·육성하며, 개방형 연구
문화와 AI 전문가 간의 소통·교류를 촉진하는 인공지능 분야의 전문 지원 기관
이다.
협약 후 양사는 AI 기반 혁신기업들과의 업무 협력체계 구축 및 신사업 발굴, AI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개발, 인공지능을 테마로 한 데모데이·해커톤 공동 개
최, AI 기술 발전을 위한 공동과제 발굴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런 노력으로 2020년 12월 NH농협은행은 세금계산서 전자서명 자동처리, 운
용사별 실물수탁자산현황 이메일 자동발송, 주택담보대출 약정이행 점검 알림,
연금계좌원천영수증 과세이연정보 등록, (공무원협약대출)차주 퇴직 시 영업점
사후관리 등 9개 업무에 RPA를 추가로 구축했다.
NH농협은행은 2018년 시범운영 이후 2019년까지 37개 업무에 160대의 로봇을
도입했다. 2020년에는 더욱 확대해 업무 분야만 해도 51개에 달했다. 지난 2년
간 후선 부서 중심의 업무나 RPA 인프라 확충에 초점을 뒀으나, 2020년에는 인
공지능(AI)을 연계해 고도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RPA로 연간 84억원 안팎의
비용 절감 효과도 올렸다.
스타트업과 플랫폼 개발자를 위한 지원
2019년 2월 15일에는 아주IB투자·크레비스파트너스와 혁신 스타트업 육성과
투자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맞춤형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NH
디지털 챌린지 플러스’ 도입과 200억원 규모의 혁신 스타트업 전용 투자 자금
‘NH-아주 디지털혁신 펀드’를 조성했다. 이를 통해 국내 다양한 혁신 스타트업
을 발굴·육성·투자하여 선순환 창업생태계를 구현하기로 했다.
NH디지털 챌린지 플러스는 스타트업 성장 단계별 맞춤형 프로그램 및 경영 컨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