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8 - 농촌진흥 60년사
P. 428

농업혁신 60년, 국민행복 100년




























            톨 페스큐(젖소 방목지)                                     2020.  국내 육성 IRG 품종평가회



            종목표를 두고 다양한 특성을 가진 우량 육종 모재 선발                    품종 출원했다. 톨페스큐는 계통 육성을 통해 2008년 ‘그
            및 신규계통 합성을 통해 신품종 개발 연구를 수행했다.                    린마스터’가 최초로 개발되었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주

            추위에 약한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1990년대 들어 안                     요 신품종으로는 ‘코윈어리’, ‘코스피드’, ‘코그린’ 등 조생
            전재배 지역 확대 및 내한 다수성 품종 육성을 위한 연구                   품종과 ‘코윈마스터’ 등 중생 품종, ‘화산102호’, ‘화산103
            가 수행되어 1998년 신품종 ‘화산101호’가 개발되었다. 이               호’ 등 만생 품종을 들 수 있다. 특히 ‘코윈어리’ 등 조생 품

            는 기존에 보급되던 외국 품종에 비해 내한성이 매우 강                    종은 기존 품종보다 수확 시기가 15일 이상 빠른 것이 특
            해 영하 9℃ 이상인 중·북부 및 산간 지역에서도 재배가                   징으로, 벼 이앙 시기 이전에 수확할 수 있어 답리작 재배

            가능하고 재생력 및 도복에 강한 장점을 지녔다. 이와 함                   면적이 크게 확대되는 데 이바지했다. 또한 2000년대에
            께 1990년대 중·후반 조사료 제조 가공에 관한 생산비 절                 는 호밀-헤어리베치 혼파, 유채-귀리 혼파기술, 유채-호
            감 연구가 시작되었고, 청보리, 호밀, 귀리, 생볏짚 등에                  밀 혼파 연구를 활발히 추진했다. 그리고 2000년대 초부

            대한 원형곤포 사일리지 제조기술 개발연구를 수행해                       터 사일리지 품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산 첨가
            2000년대 초에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청보리 등에 대                    제 개발이 주요 과제로 급부상했고, 첨가제 국산화를 통

            한 원형곤포 사일리지 제조방법을 정립했다.                           해 품질저하를 막고 가격을 안정화해 사일리지의 영농
                                                              현장 보급을 촉진했다. 또한 사일리지 품질 향상을 위해
                                                              발효미생물인 NLR1 101(생볏짚용), NLRI 201(맥류용),

                     사료작물 신품종 개발의 전성기 및                       NLRI 301(옥수수용)을 개발 및 실용화해 사일리지 품질
          04 안전재배기술 개발의 시작(2001~2010년)                        을 1~2등급 향상시켰으며, 처리비용도 절감시켰다.
                    2000년대에 신품종 개발 연구가 부흥기를 맞았

            고, 이를 동력으로 본격적인 종자 생산 단계에 돌입할 수
            있었다. 오차드그라스 합성 품종 육성 과정을 통해 2001                           대내외 여건 변화에 대응한 현장기술 개발

            년 내한·내하고성이 비교적 강하고 방목 및 채초 겸용인 05 (2011년~현재)
            ‘합성2호’를 출원했다. 이후 2003~2004년 ‘장벌’, ‘코디’                   2010년 이후는 기후변화 피해 가시화와 자유무
            등의 품종을 개발했으며, 2006년 ‘코디원’과 ‘코디투’를                 역협정(FTA) 발효 등의 이슈로 국내산 조사료의 생산력





            426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