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2 - 농협은행 10년사
P. 352

행복한 금융,
            사랑받는 일등 민족은행



            외화사업 기반 확대                                        에 반영했고, 정확하고 안정적인 회계전환을 위하여 기존 회계처
            외화사업은 대내외 사업여건 변화 지속, 타행과의 외화사업 격차                리 기준과 일시적인 병행운용을 통해 철저히 비교검증 및 테스트
            축소 등 외화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Libor 폐지에 대한 체계적             를 거쳤다.

            대응, 여·수신 FTP 효율적 운용, 해외지점 자금 지원, 외화자금관
                                                               구분(억원)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리업무 DT 전환 등을 지속해 추진했다. 그 결과 외화자산의 양적
                                                              운용평잔     226,943  247,133  296,990  354,328  400,367  436,689
            성장으로 타행과의 격차 축소(당행 37.3%>타행 18.3%)와 타행            총손익        6,378  5,994  6,902  9,443  9,241  6,990
            대비 NIM 지속 개선( 당행 0.07%p↑>타행 0.27%p↓)으로 외화          이자이익      4,693  4,490  6,902  7,361  6,605  6,326
                                                               비이자이익     1,685  1,504  6,120  2,082  2,636  664
            수익성 확대하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구분         이자부자산     순이자마진        NIM
                (평잔,억원,%)         (A)       (B)     (B/A)     ESG 조달·운용 확대로 신뢰 제고
                 2019년 말         83,498     265       0.32    최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업과 투자자의 사회적 책임이 중
                 2020년 말         92,945     306       0.33
             당행                                               요해지면서 세계적으로 많은 금융기관이 ESG 평가정보를 활용
                 2021년 말        114,653     442       0.39
                                                              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우리나라도 2025년부터 자산 총액 2조
                 성장률 (2019년比)     37.3      66.8
                 2019년 말        307,255    2,866      0.93    원 이상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ESG 공시 의무화가 도입되며,
             타행  2020년 말        346,189    2,344      0.68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된다고 발표하였다.
             평균  2021년 말        363,416    2,398      0.66
                                                              즉, 기업의 ESG 경영 의무화를 제도화하고 있다.
                 성장률 (2019년比)     18.3     ∆16.3
                                                              이러한 ESG 경영 실천을 위해 자금부는 원화 3,500억원, 외화 6
                  * 금감원 업무보고서 은행간 교환자료 참조(3대은행 평균: KB, 하나, 우리)
                                                              억달러 농금채 성공적 발행으로 서민·농업인 대출, 친환경 사업
            유가증권 운용 경쟁력 강화                                    투자 지원을 하였으며, 유망 ESG 투자상품 적극 발굴하고, ESG

            글로벌 저성장·저물가 고착화로 2010년부터 주요국 제로(마이                채권·펀드에 6,600억원을 투자했다.
            너스)금리 진입, 국내 잠재성장률 하락, 코로나19 영향으로 금리
            사상 처음으로 0% 진입 등 유가증권 운용 여건은 점점 악화되고                                 ESG 조달·운용
                                                                 당행                                사회적
            있었다. NH농협은행 유가증권도 이러한 저금리 고착화 및 고금                 이미지 제고                              책임투자
            리채권 소멸 등으로 유가증권 운용 수익 확대가 쉽지 않은 상황
            이 지속되고 있었다.                                         정부정책          조달       운용          新투자처
                                                                 협조           (발행)     (투자)         발굴
            2019년 이후 운용 전략·자산 다변화, 운용인력 보강, 운용역량 업

            그레이드 등 저금리시대에 대응한 유가증권 경쟁력 강화를 중점                 윤리적 투자자                              비재무직
                                                                 확보                               리스크 완화
            추진했다. 그 결과 2019년 코로나로 인한 최저금리 상황에도 불
            구, 총손익 9,443억원, 2020년 9,241억원으로 괄목할 성과를 거

            두었다. 특히, 2020년 비이자이익 2,636억원은 NH농협은행 역
                                                              공익적 가치를 추구하며 신뢰받는 NH농협은행 구현
            대 최고 실적이었다.
            한편, 2018년 IFRS 신규 회계기준 도입으로 유가증권의 회계처

            리 방법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1년여의 개발기간을 통해 새로               백오피스 업무 효율화
            운 회계기준을 원·외화 유가증권시스템에 적용했다. 상품분류체                 자금운용지원단은 백오피스업무 안정화 및 프로세스 개선을 위
            계 변경, 채권의 손상 및 환입 처리 등 다양한 변경사항을 시스템              해 FX파생상품백오피스시스템을 신규 개발했다. FX파생상품백



            350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