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0 - 남해화학 50년사
P. 420

남해화학 50년사




          4. SWOT 분석 - 외부환경



                               내수비료                                                   화학사업
          •  정부의 친환경 정책으로 무기질 사용량 감축 및 친환경 농자재시장                •  온실효과 저감 및 탄소중립을 위한 청정암모니아, 무탄소스팀 등
            성장                                                    신규 시장기회

          •  수도작 경지면적 감소 및 밭작물 대체로 원예용비료(시담비종) 수요               • 국내 반도체 시장 확장에 따른 반도체용 황산 수요 증가
            증가                                                  •  친환경에너지(내연기관→전기차) 전환 및 2차전지 성장에 따른 황산
          • 농가소득 축소 및 인건비/농자재비 등의 증가로 고소득작물 재배 전환                 수요 증가
          • 농업인구 고령화로 생력재배에 적합한 완효성비료 수요 증가                     •  질산용 암모니아는 휴켐스 질산공장 가동률에 따라 증감 예상되나
          • 시설작물 재배 증가 및 스마트팜 성장으로 수용성비료 시장 확대                    리스크 존재
                                                                •  경쟁제품(탈황석고) 신규 수요, 경쟁사(팜한농) 재고 소진 등 중화석고

                                                                  수요 증가


                               수출제품                                                   유류사업
          •  글로벌 비료시장은 인구증가에 따른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해 지속                 •  국제 유류 수요는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견조하게 성장할 것으로
            성장 예상                                                 예상
          •  특히, (남)아시아지역은 인구증가와 농업중심 경제로 비료 소비가                • 국내 유류 수요는 현재 수준으로 정체될 것으로 예상

            크게 증가                                               •  탄소중립 관련 대체에너지(전기, 수소, 메탄올, 바이오연료 등) 성장
          •  시장확장성, 경쟁환경, 진입용이성, 품목적합도 등을 감안 시, 미얀마와              예상
            캄보디아의 시장기회가 높을 것으로 평가됨
          •  글로벌 비료수입 상위국가인 브라질, 인도, 미국 등의 시장진출/확대
            전략 필요






                           기회 (Opportunity)                                         위협 (Threat)

          •친환경 농자재 시장 성장                                        •내수비료 시장 축소 및 원예용비료(다품종) 확대
          •기능성비료(완효성/수용성/원예용) 수요 증가                             •주 수출시장(태국, 필리핀, 베트남) 내 중국/러시아산 비료 경쟁심화
          •주 수출시장인 남아시아 시장 성장 및 신규 수출국 개척 기회                    •휴켐스 질산공장 가동율 저하에 따른 암모니아 판매량 감소
          •청정에너지(암모니아, 스팀) 신규 수요 및 반도체용황산 수요 증가                 •국내 유류수요 정체 및 대체에너지 성장
          •경쟁제품 신규수요 및 경쟁사 재고 소진 등으로 중화석고 수요 증가                 •낙포부두 개축사업 투자비 및 환경안전 관련 비용 등 고정비 증가

















          418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